"디지털건강관리"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
통합검색(2)
정치(0)

오픈AI, 헬스케어 시장 진입 검토…“의료 데이터·소비자 수요 급증” 인공지능 챗봇 ‘챗GPT’의 개발사 오픈AI가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검토하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오픈AI는 개인 건강 비서, 건강 데이터 분석 및 관리 서비스를 포함한 소비자용 건강 도구 개발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 의료 플랫폼 창업자 영입, 건강 담당 부사장 신설오픈AI는 이미 의료 분야 인재 영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6월 의료 플랫폼 ‘독시미티(Doximity)’의 공동 창업자 네이트 그로스를 영입했고, 두 달 뒤 인스타그램 부사장 출신 애슐리 알렉산더를 건강 관련 제품 담당 부사장으로 임명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8월 GPT-5를 발표하며 “건강 관리 분야에서도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챗GPT 사용자 8억명 중 상당수가 의료 질문”그로스는 지난달 디지털 헬스케어 전시회 ‘HLTH’에서 “챗GPT의 주간 이용자가 약 8억명에 이르며, 이 중 상당수가 의료 관련 질문을 던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업계에서는 오픈AI가 단순 대화형 AI를 넘어 ‘건강 조언형 AI’로 진화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빅테크의 ‘규제 장벽’, 그러나 환경 변화 중한편 오픈AI의 헬스케어 진출에는 높은 규제의 벽이 존재한다. 구글·애플·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도 데이터 활용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헬스케어 사업을 축소하거나 중단한 전례가 있다. 실제로 구글의 자회사 베릴리(Verily)는 환자 건강 데이터를 무단 활용한 혐의로 소송에 휘말린 바 있다.다만 최근 미국 정부가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있으며, 개인이 직접 건강 데이터를 관리하려는 ‘디지털 헬스’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시장 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협력 생태계 구축이 관건”오픈AI는 의료진과 신약개발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기술 응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그로스는 “의료 데이터의 민감성을 감안할 때, 신뢰할 수 있는 협력사들과의 생태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AI 기술이 진단·치료·예방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 가운데, 오픈AI의 헬스케어 진출은 향후 의료 산업의 혁신 방향을 가늠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2025.11.11

초기 당뇨라면? 송파구, 당뇨 집중관리 프로그램 10주간 운영 서울 송파구(구청장 서강석)는 9일부터 초기 당뇨 진단자를 위한 '상반기 당뇨 집중관리 프로그램'을 10주간 운영한다고 밝혔다. 프로그램은 실생활에서 당뇨 관리를 돕도록 ▲ 이론교육 ▲ 홈트레이닝 및 근력운동 실습 ▲ 건강 도시락 체험 ▲ 식사 일기 작성 및 개별 영양상담 ▲ 당뇨 발 관리 실습 등으로 구성됐다. 채혈 없이 스마트폰으로 혈당 변화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건강관리 도구인 연속혈당측정기도 체험할 수 있다. 참여자는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후 당화혈색소 검사를 통해 혈당 변화도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송파구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연계한 자조 모임도 진행된다. 서강석 구청장은 "단순한 건강정보 전달을 넘어 스스로 혈당을 조절하고 건강한 일상을 만드는 실질적인 변화의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05.09
